다양한 형태의 수축귀, 진단과 교정 방법도 형태마다 달라야

25.08.26

거울 앞에 서면 누구나 한 번쯤 자신의 외모에 시선이 머무르곤 한다. , , 입처럼 귀 역시 얼굴의 균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다. 그런데 귀의 윗부분이 접혀 있거나 작게 오그라져 보이는, 이른바수축귀를 가진 이들은 자신도 모르게 그 부분을 가리려 하거나 사진 찍을 때 머리를 자연스럽게 넘기지 못하는 불편을 겪는다. 남들에게는 사소한 차이일 수 있지만, 본인에게는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민거리가 된다.

특히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에게는 이러한 신체적 특징이 민감하게 작용한다. 친구들 사이에서 놀림거리가 되거나, 결점으로 받아들여져 위축감을 느끼기 쉽다. 수축귀는 당사자에게 삶의 질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문제로, 교정이 필요하다.

수축귀는 귀의 위쪽이 수축되어 귓바퀴가 접히거나 오그라든 형태로 나타나는 기형으로, 쪽박귀, 접힌 귀, 처진 귀, 수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수축귀는 여러 형태를 가지고 있고, 수축의 정도에 따라 각각 다른 교정 방법을 사용한다. 교정의 핵심은 귀를 펼쳐져 보이면서도 자연스러운 모양을 만드는 것이다. 수축귀는 수술 전 수축의 정도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귀 성형을 전문으로 하지 않는 경우 성형외과 전문의라 하더라도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22년간 164명의 귀 케이스를 토대로 수축귀의 분류와 그에 맞는 수술방법에 대해 저술한 논문인 ‘Classification and Algorithmic Management of Constricted Ears: A 22-Year Experience(박철, 박정열, 2016)’에 따르면 수축귀의 수축 정도는 대이륜을 구부려서 진단하는 방법(Antihelical Tubing Test)과 삼각와를 눌러서 진단하는 방법(Scapha-Helix Push Test) 두 가지로 알 수 있다. 해당 논문의 저자가 개발한 방법에 따르면 수축귀는 4가지 타입으로 나눌 있다. 대이륜만 구부리면 정상적인 귀의 형태로 만들 있는 비교적 약한 정도부터 귀를 구부리고 면봉으로 눌러도 거의 귀의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 정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수축귀 교정 시 단순히 실만 이용해 고정하는 방법으로 수술할 경우 실이 쉽게 끊어지고 귀가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 하므로, 수축귀 수술은 성공률이 낮아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수축귀의 교정은 돌출귀 수술 방법으로 잘 알려진 Mustard?의 방법이나 Converse의 방법으로 간단히 교정하려 하면 성공률이 낮으며, 연골 이식이나 근막피판술 등을 추가해야 교정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심한 수축귀의 경우에는 가슴 연골을 채취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BIO성형외과 박철 원장은수축귀는 교정 수술을 진행한 이후에도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힘이 강해 교정법이 매우 까다롭다수축귀를 성공적으로 교정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지식이 풍부하고 경험이 많은 의료진에게 수술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박철 원장은 2024 4월 국제 귀 성형학회에서 소이증에 관한 귀 성형술을 발표해 최고학술상을 받았다. 또한 30년 동안의 소이증 성형술 결과를 담은 논문이 국제 학술지에서 높게 평가돼, 2024 6월 서울시 의사회에서 학술상을 받았다. 또한, 2025소이증의 혁신적인 치료방법'에 관한 논문이 미국 성형외과 의사 학회지에 수록될 예정이다.